Page 3 - 제2회 광주건축대전 수상작 일반 공모전
P. 3

44.                                                                                                            45.

            제 2회 광주건축대전

            일반공모부문 |우수상                                                                                                    일반공모부문 |우수상
            Boundary of Flaw                                                                                               이웃사이 공유공간-공간의 향유

            이지러지거나 깨어진 흠의 경계를 통한 비판과 기억의 현대 미술관 계획안                                                                        SPACE BAZAR



            김재흠                                                                                                            안준태
             SCOPE OF RESEARH   SITE ANALYSIS 광주광역시 광산구 장덕동 일반 1127  BACKGROUND  MOTIVE: FLAW  CONCEPT KEWORD Space of Boundary ;경계공간
                                                                경계공간은 한마디로 공간으로서의 경계로 정의할 수 있다. 말 그대로 경계와 공간의 의미를 동시에 지닌다. 경계 자체가 물리적 요소일
                    - 연구의 범위 -                         ;흠(집) 또는 결점  수도 있고, 공간의 상태로서 물리적으로 비어있을 수도 있다. 경계공간은 가시적인 요소나 비가시적인 공간이 형성하는공간이기도 하다.
              외 부
                   6가지의 경계로서의 형성되는         - 지역문화의 정체성과 역사의 보고 -
                   외부와 내부사이의 경계공간           기억의 재생산 기억의 재현을 통한 역사의 기억   - 어떠한 물건의 이지러지거나 깨어지거나 금이 간 자국
              내 부                                      흠(집) 속에서 경계, 틈, 사이공간을 발견, 현대사회의
                         통 합             미술관의  본래  기능은  전시와  문화의  장을  제공하는  공간이었지만  현대에  이르러서  건물   과거와 현재의 문제와 빗대어 표현하며 관계를 회복하고자 한다.
                                         자체가 하나의 예술로 인정받으며 독특하고 개성 있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잘 지은 미술관   Crack
                   건축 내부 공간의 6가지의 경계  - 미대 세대를위한 투자   하나는 나라의 관광수익으로 연결되어 막대한 수입을 올리기도 하며 나라의 부강에 힘이 된다.   Variable Boundary
                   에 대한 도출 및 확장          특히 지역의 미술관은 미술관 고유 기능 가운데 지역 문화의 연구와 수집, 보존기능이 중요하다.   Fixed Boundary
                            어린 시절 경험했던 예술적 향유가 인격형성의 과정에 커다란 영향을 끼치며   오늘의 우리의 소박한 행적도 기억하고, 기록하며, 보존하면 역사가 된다. 그 역사는 문화의   In-between
                            서울권과 상반되게 동시대를 살고 있음에도 불구, 문화향유의 지역적 편차가   자산이 되고, 문화 관광 콘텐츠가 된다. 이미 광주는 훌륭한 문화적 자산을 가지고 있고, 이러한   내부와 외부의 대립으로 이분법적인 구분의 파기에 이르기까지 경계는 부단히 변화되어 왔고, 특히 기술의 발전과 정보화 사회는 경계에
                            매우 심한 것이 현실이다.              Flowed Boundary  새로운 물성과 표현 전략을 허용하였다. 그로인해 경계는 점차 모호하게 변해갔으며 불확정적인 경계로 변해갔다.
             모호한 경계를 지닌 현대건축의 경계에 대한 연구는 외부와 내부의 사이의 경계뿐만 아니라 내부공간의 경계에도 주목하여   문화적 자취를 기억, 보존할 수 있는 미술관의 건립이 필요하다.  Expanded Boundary
             경계의 깊이, 패턴, 물성에 대한 경계를 형성하는 요소에 집중하여 내부와 외부 사이뿐만 아닌 건축의 내부까지 확장시킨다.  현재의 경계는 깊이를 가지게 되었으며 이러한 깊이는 하나의 수용체로서 공간, 물성, 기술을 담고 있는 넓은 의미의 건축적 요소가 되었다.
                            미래 세대를 위한 투자로 고도의 정보화 기계화된 사회를 살아가는 아이들에게   Restoration Of Relations
                            인간력과 풍부한 감성을 길러주기 위해 미술관의 건립이 필요하다.
                                                         12 BOUNDARY
                       건물 진입로, 외부                                   사무실 및 영상미디어실
                  1. 내, 외부 관계의 전환 [ 공간 위계의 변화 ]                  7. 다중적 경계공간 [ 중첩으로서 확장 ]
                               BOUNDARY of FLAW
                     정문에서 건축물의 형태를 가리는 벽체는 사람들을 건물을 보게 만들기 위해 벽   서로 각기 다른 프로그램들을 담고 있는 여러가지의 공간들이 거대한 경계공간
                     뒤로 진입하게 하여 벽면으로 외부와 구분시켰으며, 밖에서 느꼈던 같은 재료 및   속에  노출되어  있기에  사람들은  서로를  볼  수  있으며  서로  다가갈  수  있다.
                     디자인을 반복 사용하여 실질적인 공간에 아직 이르지 않았음을 암시하게 한다.   그러므로  이  공간에서는  시선적  교환과  행위적  교환이  모두  혹은  동시에
                     두개의 콘크리트 벽면의 좁고 긴 장방형 모양의 도로를 형성하여 사람의 움직임을   이지러지거나 깨어진 흠의 경계를 통한 비판과 기억의 현대 미술관 계획안  ; 흠의 경계  가능하기에 끊임없는 연결과 교환을 통해 유동적인 공간을 형성 및 강화시킬 수
                     촉진하며 끝이 점점 좁아지는 형태는 그쪽으로 사람들의 행위를 유도한다.   있다.
                                MASS PROCESS
                        팝업 스토어                                       계단실의 단
                     2. 파사드 벽을 대체하는 커튼  1. Mass  2. Creation of Flawing  3. Inner Of Boundary Space  4. Outer Of Boundary   8. 다른 레벨에서의 시점
                                      기본 매스에 흠의 경계, 틈과 사이공간을 도출해 분해 시킨다.  흠으로 만들어진 매스의 내부에 6가지의 경계 공간을 형성한다.  외부의 공간에 6가지의 경계공간을 형성한다.
                                일반적인 매스
                     커튼은 공간의 깊이를 결정하는 파사드 벽을 대체함으로서 이 공간의 위계는 더   굵직한  콘크리트  매스를  사용하여  계단실을  공간에서  보다  명확히  구분되도록
                     이상 하나의 고정된 질서로 존재하지 않는다. 이 커튼 벽은 주인에 의하여 자유로이   ISOMETRIC  FLOOR PLAN  한다. 창살이나 이음매의 흔적이 없도록 처리하고, 계단을 이용하는 사람과 로비에
                     열리거나 닫힐 수 있으며, 불투명한 소재로 만들어졌기에 완전히 닫혔을 때에는   있는 사람 사이에는 시각적인 연결이 존재하지만 청각과 촉각의 소통을 방해하여
                     시선을 철저히 차단하며 열렸을 때는 그 열린 만큼 내부와 외부의 이미지가 서로   경계를 이룬다.
                     전달된다. 이 공간에서 투과성은 커튼에 의해 결정 되는 것이다.
                        외부의 덮개                                       특별전시실
                     3. 극적으로 확장된 경계공간     05.                    9. 원형의 공간 [ 영역 의 연결 ]
                                     11.
                                                          5
                                                    로비  3  4
                                                         1
                                                    전시 준비실  6
                                                         2
                                                    상설 전시실
                                                    방풍실
                                                    기획 전시실
                     경계공간이 건축의 한 입면에 위치하지 아니하고 극적으로 확장되는 경우, 내부와 외부   야외 로비 및 전시   선적인 요소는 방향성이 있는 반면 원은 모서리가 없고 방향성이 없으며 하나의
                     사이에 또 다른 새로운 관계를 형성한다. 경계공간이 스케일적으로 확장되어 건물을 일부   2nd Floor Plan 6  10  원은 강한 중심성을 가지고 있지만 이런 원들이 공간 속에 모여 있으면 중심성은
                                                             3
                                                            0 1
                                                               약화되어 오히려 위계 없는 공간을 형성하여 사람들은 원들 사이에서 선택이라는
                     덮어버리면  내부와  외부  사이에  거대한  사이공간이  형성되는데,  이  공간은  거대한   것을 하며 움직이게 되고 이동 경로 또한 불가피하게 비직선형인 흐름을 이루게
                     수용체로서 동선 프로그램 기능 등 건축의 각 요소를 담아 낼 수 있다.   한다.
                                     03.                 B
                                               12.
                       외부, 내부 진입로               09.     10           특별전시실
                    4. 기둥의 연결 [ 영역의 연결 ]                        10. 공간을 점유 하는 직물 [ 설치 미술을 통한 경계공간 ]
                                       08.               9
                                                    1  로비
                                                    2  팝업 스토어  6  7
                                                    3  안내 및 행정 사무실  5
                                               04.  4  스태프 사무실  4  1
                                     10.            5  미술 도서실  8
                                                  01.  6  영상 미디어실  A  3
                                                    7  기획 전시실  2
                     불규칙적으로  배치된  원형의  기둥은  내부를  구획하는  건물이  아닌,  거리의  연장으로서   8  특별 전시실  반투명한  나일론  천을  사용하여  공간과의  관계를  맺는다.  직물은  얇은  면으로
                     공간의 간격을 좁히고 그들 사이의 경계를 모호하게 하여 예측할 수 없는 사람들의 행위를   9  야외 포럼 및 전시  유연한 재료지만 직물이 단지 공간 장식의 요소로 쓰이는 것이 아닌 계단의 모양을
                     최대한  담아내게끔  하여,  기둥은  경계로서  자신의  고유한  영역을  지니며  이  영역들은   10  카페샵  형성하여 공간을 수직적으로 연결시켜준다. 또한 천장에도 넓게 덮여 있어 공간을
                     끊임없이 서로 겹치며 연결되고 이는 방의 경계를 지운다는 것을 의미한다.  0 1  3  6  10  에워싸는 경계로 지각된다.
                                                            1ST Floor Plan                                                                                        Step 1               Step 4
                                                     ELEVATION
                       외부 및 내부 창                                     진입로 슬래브
                                   06.
                    5.                                          11. 지각적 차이에 의한 경계 [ 단편화된 외부의 도입 ]
                                                                                                                                                                  을지로3가역은  2호선,  3호선이  겹치는  서울의
                                                                                                                                                                  주요 환승지역              대형상권의 높은 유동인구들의 유입가능성이
                                                                                                                                                                                        크다
                                                                                                                                                                  을지로동  근처로  확장해  나가면  1호선부터  5
                                                                                                                                                                  호선 까지 모두 지나다니는 교통의 중심지
                     대량의  유리를  통해  내부와  외부  사이를  경계  짖는다.  투명한  속성  때문에  여러겹으로                                                                                    Step 2
                     중첩되더라도 시각적인 투과를 가능하게 하여 일차적으로 공간을 연결, 물리적 공간보다는   단편화는  ‘조각나다’의  뜻으로  외부의  요소가  경계공간을  통과할  때  다  전달되지  않고
                                                               부분적으로 전달되는 것을 의미한다. 즉 경계공간이 물성이나 패턴, 형태의 영향을 받아
                     인식적 공간 관계에 중점을 두는데, 이는 나무 숲이 있는 데까지 인식적 경계를 삼으면서   02.  내부와 소통함에 있어 단편화된 외부를 전달하게 한다. 틈새를 지닌 경계를 통해 일조량의
                     확장된  공간을  형성한다.  여기서  경계는  재정립되며  나무숲에  이르기까지  외부공간이   07.  변화에 따라 내부는 변화된 분위기를 형성하는 동시에 경계공간을 채우게 된다.
                     투명한 내부 공간을 둘러싸면서 주변 풍경을 끌고 들어온다.
                       후문 건물 진입로                                     조형 전시물
               6. 내, 외부  전환의 관계의 전환 [ 공간 위계 의 전환 ]              12. 외부를 전환시키는 기물
                                                                                                                                                                  다른 지역에비해 임대료가 저렴한 이점이 있다
                                                                                                                                                                  Step 3
                                                               불투명하고 두꺼운 벽과 투명하고 가벼운 유리 케이스는 강한 대조를 이루면서 경계공간을
                     미닫이라는  경계요소를  내부와  외부사이의  경계로  설정하여  내부와  외부의  상호작용   형성한다. 시선 유도는 벽에서 케이스로 평행 벽을 따라 이동하던 관람객은 유리 케이스를
                     속에서  빛과  공기,  소리  등  물리적인  요소를  통해  1차적으로공간을  연결한다.  표면의   만나면서 강한 물성의 전환을 체험하고 케이스에서 작품으로 자연스럽게 기물로 시선이 더
                     열림을 통해 외부에 노출되면서 지붕과 바닥은 프레임으로 전환되는데, 외부가 통째로 이   깊게 들어간다. 유리 속의 작품을 통해 유리 뒤편의 상황까지 엿볼 수 있는 기회를 획득한다.
                     프레임을 관통하면서 2차적으로 내부의 공간적 속성을 바꾸어 놓는다.
                                                               작품과 케이스는 하나의 통합된 기물로서 경계공간을 형성한다.
                                                                                                                                                                  주변에 명동과 종로가 있는 초대형 상권의 배후지
   1   2   3   4   5   6   7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