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0 - 제2회 광주건축대전 수상작 일반 공모전
P. 10
58. 59.
제 2회 광주건축대전
일반공모부문 |특선 일반공모부문 |특선
Floating PlatForm A natural village ; connects hearts
부유하는 공간과 유영하는 인간 마음을 연결하는 집, 자연마을
더불어 사는 공동체, 지역사회권
박민희 이은지
5F Plan
1. 수영장 라운지 바 Floating Platform 부유하는 공간과 유영하는 인간
2. 객실
광주 광역시 북구 충효동 일대
자연녹지지역 임야,전답 합필
대지면적 33,000제곱미터
건폐율 22% 용적률 48%
4F Plan
1. SPA
2. 탈의실
3. 라운지 풀
4. 강의실
5. 장비실
6. 용품샵
7. 암벽등반 라운지
8. 리조트 로비
9. 사무실
10. 카페테리아
11. 세미나실
지각은 끊임없이 움직이며, 서로 충돌하고, 어긋나고, 소멸한다. 서로다른 지층이 충돌하며 탄생하는 전혀 다른 암석과 같은 것들이 공간과 닮아있다.
물과 땅 두개의 판이 만나는 곳에 전시의 영역에는 다 담지 못하는 강한 성격의 프로그램들을 삽입시켰다. 프로그램이 충돌하는곳은 매스가 사라지
거나 생겨나거나, 교차하거나 어긋나는 등의 활동이 일어난다. 결과적으로 프로그램들과 동선이 교차하는 저층부와 거대한 프로그램이 충돌하여 비
워진 상층부의 부유하는 공간들이 생겨났다. 다양한 프로그램의 역에서 사용자는 승강장 처럼 프로그램에 타고 내린다. 어긋나버린 공간들을 이어주
는 램프, 계단, 보이드, 브릿지 등의 공간은 또 다른 새로운 프로그램을 관람하기에도 좋은 전시동선이다. 사용자는 이렇든 부유하는 공간들 속에서
경관, 전시물, 또 다른 사용자, 등을 관람하며 마침내 전시의 경계를 구별할 수 없게 된다. 이는 플랫폼안에 들어온 사용자가 결국엔 플랫폼 전체를
전시로 인식하게 하는 장치가 되어 거대한 전시안에 들어와 그 속을 유영하는 느낌을준다. 전시동선이 상위 위계의 동선이 되어 딱딱한 바닥을 걷던
전시를 지나온 우리는 전시물의 정의 자체를 재확인 하여 공간안에서 전시할 수 있는 것이 무엇인지 가능성을 열어둬야 한다.
Site Design process
Land Flatform Axis Fill Inside
대지내의 유선형의 등고선, 논의 둑, 유선형의 대지 내(반지하 레벨)에 도시에서부터 연장된 축 선들을 교차된 축선들을 진입로에서 보이는 단순한 형태의 매스들 안에 유선형의
광주시는 무등산이 유네스코 대상지로는 증심사 상가지구가 이전할 그러나 기존 계획안은 플랫폼센터를 호수의 물과 산의 땅, 두 다른 성질이 인근의 가사문학관과 기존의 호수공원 사이트는 호수방향으로 정북향이다. 산책로와 배면의 호수의 유선을 바탕으로 둠 호수면을 적극적으로 관람할 수 있는 대지와 매스 위에 반영, 교차 호수의 경관을 해치지 않도록 채우고 대지와 상부의 매스를 반영시켜 내부에
3F Plan 지질공원으로 지정됨에 따라 무등산권 예정인 수리마을 일대가 선정되었다. 수용하기에 협소하여 기존과 별개로 맞물린다는 점에서 지층의 형성과정을 산책로와 무등산권 문화지구로 의 발전가능성을 도로로 진입가능하며 호수를향한 완만한 경사지를 이루고 단순한 형태의 매스 삽입 비우는 작업 부유하는 공간을 연출
수리마을일대의
맞물려
지질 플랫폼센터 건립계획을 발표하였다. 광주호와 맞닿은 공지를 대상지로 담은 판단하였다. 공간을 연출 가능하다고 보았다. 있다. 호수를 우회하는 산책로 뿐만이 아닌 관계를
연출하고자 하였다.
선정하였다.
1. 보존자료실 Concept
2. 수장고 분리된 기능과 매스, 관람객과 관리,
3. 의무실 연구의 동선이 모두 분리되어
4. 방송실 관람동선의 위계가 분명하게 우위에
선 기존의 박물관.
5. 휴게라운지
6. 어린이체험부스
7. 안내데스크 기존의 박물관은 전시, 연구, 수장의 기능만 수용하였다. 이들 기능은 서로 분리되어
8. 레저시설관리과 존재하며 서로를 간섭하지 않고, 전시를 위한 동선은 특수한 취급을 받으며 다른 어떤
9. 리딩라운지 프로그램들도 전시의 동선을 방해할 수 없었다. 다양한 프로그램이 전시동선을
10. 도서관 관입, 전시물과 동시에 다른
11. 암벽등반 홀 프로그램을 체험하는 사용자까지
12. 휴게공간 관람하는 현대의 박물관
13. 탈의실
전시물을 보는것을 넘어선, 센터
현대의 박물관은 더 이상 전시 만을 수용하지 않는다. 주변 맥락을 고려하여 다양한 내의 프로그램 사이를 유영하며
프로그램을 수용하고 전시관람의 목적이 아닌 모임의 장으로써 기능하여 지역사회 전시물과 전시물이 아닌것 사이의
경계가 모호해진다.
안에서 장소성을 가진다.
Program
무등산은 광주를 애워싸고있으며, 광주 시내에 존재하는 문화, 오락, 반면 광주 근교의 담양, 화순 과 따라서 광주 시내 외적으로 부족한 중규모
광주와 역사적, 문화적으로 밀접한 레저시설은 크게 ACC, 패밀리랜드, 같은 도시들은 대규모 레포츠 레저시설과 자연경관을 활용한 관광,
관련을 맺어온 산으로써 지질 유스퀘어 등 세 가지로 꼽을 수 시설을 수용하고 있으며 개발행위가 문화시설 유치가 필요하며 무등산과
플랫폼을 계획할 때 광주에 필요한 있으나 이는 비슷한 인구 규모의 제한된 지역 역시 산림자원과 광주호라는 자원을 활용할 수 있는 레저
시설을 중점으로 반영할 필요성이 도시인 대구에 비해 자연적, 오락적 경관자원 등 으로 관광객 유치에 프로그램을 수용하며, 이는 산속에 위치한
있다. 시설이 부족한 현황이다. 성공적인것을 볼 수 있다. 지질박물관으로의 인구 유인 기능을 겸한다.
2F Plan
Exhibition 일상적인 프로그램(전시)의 동선을 따라 유영하다 보면 그 사이에 끼어든 비 일상적인 프로그램
(수영, 클라이밍과 같은 전시와 무관하나 대상지가 수용하는 일들) 까지도 관람하며, 방문하게
1. 약품실 된다. 플랫폼이라는 단어의 원초적 의미와 같이 서로다른 프로그램 사이를 타고 내리는 일이 일
2. 하역관리 Library Swimming View Climbing Auditorium Media 어나고 전시의 경계가 모호해져 마침내 관람자들은 센터 전체를 하나의 전시로 인식하게 된다.
3. 하역장
4. 사무실 대규모 문화 승강장 Cultural Platform
5. 자원봉사자 대기실
6. 어린이전시관
7. 대강당 Sectional volume Macroscopic
8. 전시관
9. 암벽등반홀
10. 전시관 Uplifted Space
Scenic Display
Water on the Water
Floating Mass
View Conection
Import the Water
Sectional composition Lake plate
Nature
광주호
프로그램 사이로 적극적으로 흘러들어오는 호수를 연출하기 위해 땅을 재정리 하여 매스
밑으로 호수가 관입하는 극적인 효과를 내었고 그 위의 물을 사용하는 프로그램들과 가사문학관
수직적으로 연결성을 주었다.
Boundary of plates
Program
Land plate
진입도로 레벨에서 바로 전시관 홀로 진입하지 않고 현관의 공간을 둔 것은 이 공간이 계획대상지(수리마을)
호수의 경관을 전시하고 있기 때문이다 상부의 플랫폼 매스와 어긋난 형상의 진입공간 무등산권이 유네스코 지질공원으로 지정되면서
매스가 진입부의 램프와 함께 땅 밑으로 들어가 호수를 마주하는 관경을 연출하였다.
1F Plan 증심사입구의 상가를 포함한 경관 유해시설들이
이주예정된 수리마을 일대는 광주호와 무등산 자락이
맞닿은 자리이다 그 중에서도 현재 계획의 대상지는 호수와
산의 경계가 충돌하는 지점으로, 지질학적 용어들로
View 추상화 하였을 때 서로 다른 판들의 교섭이 일어나는
지점이다. 지층은 이 과정에서 소멸하고 융기하여
1. 전망대 진입광장 대지는 호수를 향해 경사가 있으므로 진입도로면에서 호수를 볼 때 경관이 최고의 위치적 탄생하기도 한다. 플랫폼의 공간 안에 이러한
2. 로비 프로그램사이의 교섭과 소멸, 탄생을 나타내고자 하였다.
3. 굿즈판매부스 자원이라고 판단했다. 경관을 해치지 않기 위해서 호수의 경계에 대응하는 1차원적인 배치 프로그램과 대지 내를 오르내리며 유영하는 계단, 램프,
4. 안내데스크 방식이 아닌 호수를 향해 뻗는 매스를 간격을 두고 배열하여 경관을 통하게 하였다. 보이드 공간과
5. 사무실 서로 다른 부피를 가진 프로그램들이 매스가 부유하는
6. 설비실 형상의 내부를 연출하였다.
7. 미디어 전시 홀
8. 주방
9. 저장실 Site plan
10. 레스토랑
7
SectionD
SectionC
SectionA Section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