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09 - 건축대전도록
P. 109

108.                109.

 제 2회 광주건축대전

 김찬중 심사위원장            고성학 심사위원
 경희대학교 건축학부, THE_SYSTEM LAB  영남대학교 건축학부 교수




 학생 공모전은 학생들의 다양한 사고를 배경으로,   우수상을 수상한‘역-장’역시 지역사회에 대한   총평  역-장_송정역과 송정역 시장 사이의 집창촌 및
 현실에 대한 자신들의 생각을 투사(projection)하  명확한 이해와 문제의식을 중심으로 출발한 설득  올해로 2회째를 맞이하고 있는 광주건축대전의   노후 주거공간을 새로운 커뮤니티 문화 공간, 창
 기에 더없이 좋은 기회이자 도전이다. 그런 의미  력 있는 작업이다. 시장이라는 장소성의 복원이  성공적인 개최를 축하드립니다. '공유된 가치, 공  업공간 및 게스트 하우스로 새롭게 탈바꿈하는
 에서 매우 현실적인 안을 만드는 것보다는 (실무  라는 주제는 소화하기에 만만치 않은 것이었음에  동의 이익'이라는 쉽지 않은 주제임에도 불구하고   프로젝트로, 기존 구조물을 십분 활용한 아이디어
 를 하지 않은 학생들로서‘현실적이다’라는 부  도 불구하고 차분하게 이야기를 풀어 나가는 태  참신하고 다양한 아이디어, 그리고 지역적 장소성  가 돋보였던 작품이었습니다. 또한, 데크와 지붕
 분의 완성도는 상대적으로 떨어지기 때문에 공모  도가 인상적이었다. 다만 이성적인 접근의 이면에   을 초월하여 우리 사회가 더 나은 방향으로 나갔  을 통해 프로젝트를 하나로 연결하고, 통일성을
 전에서 최고의 가치로 판단하지는 않았다) 정확  자리잡은 소극적인 해석이 본인의 목소리를 너무   으면 하는 바람을 건축적 요소로 승화해 주신 출  부여한 것에 큰 점수를 주고 싶습니다. 다만 제목
 한 자기의 의견을 얼마나 완성도 있게 발언하느  약화시킨 것이 아닌가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우  품자들의 열정과 도전정신을 느낄 수 있는 뜻깊  에서 보여주듯이 "역-장" 사이에 놓인 본 프로젝
 냐에 더욱 초점을 맞춰서 심사를 진행하였다. 그  수상을 수상한‘boundary of flaws’는 응모자가   은 공모전이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심사를 진행하  트가 송정역과 시장을 연결하는 다리로써의 역할
 리고 어떠한 발언이 맞고 틀리는가의 문제 또한   설계를 진행하면서 느꼈을 즐거움과 환희가 보이  면서 기존에 제가 가지고 있던 생각들을 다른 시  에 대한 고민이 부족하지 않았나 하는 아쉬움이
 심사의 기준이 될 수 없다고 생각한다. 개인의 자  는 작업이었다. 다만 본인의 목소리가 이 작업을   각으로 바라보는 계기가 되었던 좋은 시간이었습  있습니다.
 유로운 사고의 체계에서 나온 발언이 옳고 그름  공감해야 하는 타인보다는, 스스로의 내적 사고체  니다. 다만 건축대전인 만큼 단순히 개념적 차원
 의 잣대로 평가될 수 없기 때문이다. 다만‘개인  계에 더 많이 머물러 있었던 점이 다소 아쉬웠다.    의 이상적인 이미지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실  Boundary of Flaw_흠의 경계라는 주제를 벽과
 의 생각이 그 사고의 체계 안에서 얼마나 논리적  또다른 우수상인‘space bazar’는 젠트리피케  질적으로 현실 세계에 지어질 수 있는 부분까지   공간의 흐름, 그리고 재료를 통해 잘 표현된 작품
 으로 전개되는가’하는 문제는 판단의 기준이 될   이션과 힙스터라는 무척 도전적인 사회이슈를 내  고려하고 공모전 작품을 진행하였으면 좀 더 수  이라고 생각됩니다. 또한, 전시공간이 미래 우리
 수 있다. 다양한 가치의 공존은 인정되나 그 가  재하고 있는 프로젝트로 인상적이었으나, 공유공  준 높은 건축대전이 되지 않았을까 하는 아쉬움  삶의 공유공간이자 지역 정체성의 공간이 된다는
 치를 얼마나 설득력 있게 다른 사람에게 이해시  간의 다소 과장된 해석이 논리적 전개의 틀 안에  이 남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건축대전을 통해 우  의식이 돋보입니다. 다만 흠의 형태에서 표출되
 키는 가의 문제는 건축 설계 활동에 있어서 결코   서 정리되지 못한 부분이 있었다. 역시 우수상을   리 사회를 다시 한번 진지하게 바라보고 고민해   는 자연스러움과 우연성이 좀 더 매스의 형태 및
 간과할 수 없는 중요한 이슈이기 때문이다. (이것  수상한‘the maker’s space’는 구조적 켜의   보며, 출품자 모두가 자신들이 추구하는 사회적   공간에 과감하게 표현되었으면 하는 아쉬움과 함
 은 학생들 뿐만 아니라 실무 건축가들에게 있어  구성이 무척 강인하게 표현되고 있는 작업으로   관점에서 건축적인 해결책을 모색해 보는 유의미  께, 전시공간의 성격을 조금 더 구체적으로 부여
 서도 가장 중요한 과정중의 하나이다)   주목을 받았으나, 가장 부각되는 구성요소인 켜와   한 시간을 가졌으리라고 믿어 의심치 않습니다.   해 주었으면 더 좋은 작품이 되었을 것이라 생각
 공간의 주요한 프로그램과의 직접적 관계성을 형  마지막으로 광주건축대전에 초대해 주신 관계자      됩니다.
 이런 맥락에서 볼 때, 수상한 작품들은 상대적으  성하는 데에는 다소 약하게 해석된 면이 있었다.   분들과 훌륭한 작품을 보여주신 출품자 모두에게
 로 다른 작품들에 비해서 이야기 하고자 하는 본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이웃사이 공유공간_공간의 향유_힙스터라는 그
 인의 목소리가 좀 더 명확하고, 논리적이며, 또한   건축은 다양한 현상에 반응하는 건축가의 사고체  룹을 도심재생의 핵심으로 보고, 건축적 모듈 및
 구체적이었다고 할 수 있다. 물론 현실의 문제에  계를 물리적으로 구현해 내는 행위이다. 이것은   다순구미_(벽돌) 폐공장이 그 지역에서 갖는 의미  조합을 통한 프로젝트 진행이 흥미로웠습니다. 하
 서 판단해 보면, 다소 무리하며 과장된 형식의 표  다분히 공공의 영역에 해당하는 작업의 하나이며  와 "다순구미"라는 지역 사투리의 의미가 작품에   지만 모듈을 결정하는 과정이나 조합을 하는 규
 현이나 개념이 등장하기도 하지만, 심사위원들의   (비록 개인의 집을 짓는다 하더라도 역시 공공재  잘 어우러진 완성도가 높은 작품이었습니다. 사이  칙이 불명확하며, 특히 양쪽 두 개의 프레임으로
 일관된 방향성은 최대한 논리적으로 본인의 개념  의 성격을 버릴 수 없다.) 따라서 개념의 공유나   트 분석을 통해 문제점을 도출하고, 이러한 문제  구성된 상업공간을 연결해 주는 중앙의 다중 데
 을 구체화하여 커뮤니케이션 하려는 노력에 많은   소통에 있어 그 어떤 일보다도 적극적이어야 할   점 해결을 위한 외부공간 및 내부공간에 대한 건  크 부분은 특정한 프로그램 없이 일관된 형태의
 초점이 맞추어 져서 심사를 진행했다고 말할 수   필요가 있다. 건축가는 스케치며 모델, 다이어그  축적 고민이 많이 느껴지는 작품이었고, 지역 주  계단으로만 수직 연결되어 있어 흥미로운 공간을
 있다.    램, 글, 영상 등등의 다양한 매체를 이용하여 사  민들, 그리고 외부에서 이곳을 찾아오는 관광객  만들어 내지 못한 것이 가장 큰 아쉬운 부분이라
 고의 체계를 명확히 전달해야 할 의무가 있는 것  을 위한 고려와 배려를 통한 프로젝트 전개가 이   생각합니다.
 대상 수상작인‘다순구미’는 위에서 말한 본인  이다. 그런 의미에서 공모전은 짧은 시간이지만   번 건축대전의 주제와 잘 어우러졌다고 보입니다.
 의 목소리의 명확성과 구체성, 그리고 논리적 전  자신의 그러한 역량을 테스트해 보는 무대로서   또한, 주변의 자연경관을 잘 활용한 공간 배치가   The Maker Space_외형에서 보이는 수평적 벽
 개에 있어서 무척 잘 준비되고 설득력 있게 전  무척 유용하다 할 수 있다. 수상자들은 물론, 참  훌륭했습니다. 다만 리노베이션 프로젝트인 만큼   의 요소가 평면까지 확장되어 잘 나타난 작품입
 개되었다고 생각한다. 도시적 문맥에 대한 이해  가한 모든 학생들에게 그러한 도전에 함께 하였  기존의 폐공장과 새롭게 추가된 건물에 대한 다  니다. 도서관이라는 기존 공간에 다양한 만들기
 와 관심도 훌륭했지만 전체적인 tone & manner   다는 노력과 용기에 감사와 찬사를 보내며, 역량  이어그램이 있었으면 작품을 이해하는데 더 많은   체험을 할 수 있는 공간을 삽입한 것은 재미있는
 가 과장이나 무리함없이 적절한 절제를 통해 차  의 한계를 정하지 말고 더 발전하시기를 뜨거운   도움이 되었을 것이라 생각됩니다.   시도였던 것 같습니다. 다만 공간의 배치에 있어
 근차근 완성해 간 모습이 느껴지는 수작이다. 최  마음으로 응원하는 바이다.               동선의 고려와 프로젝트가 산기슭에 배치되는 만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